본문 바로가기
건강 의학

똑같은 약을 매일 먹으면, 정말 내성이 생길까?

by 파스타국 2025. 4. 4.
반응형

– 약 복용과 내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

“같은 약을 계속 먹으면,
점점 효과가 약해지는 것 같아요.”

“이거 혹시… 내성 생긴 걸까요?”

감기약, 진통제, 수면제, 정신과 약 등
오랫동안 반복적으로 복용하는 약물에 대해
“내성이 생긴다”는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.

그렇다면 정말로
모든 약물은 매일 복용하면 내성이 생길까요?

🧠 '내성'이란 정확히 어떤 상태일까?

약물 내성이란,
같은 약을 반복적으로 사용했을 때
이전보다 효과가 줄어들거나, 더 많은 양을 써야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.

하지만!
✔️ 모든 약물이 내성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며
✔️ 내성과는 구분해야 할 개념도 있습니다.

 

📋 약물에 따라 다른 '내성 발생 여부'

약물 종류내성 가능성설명
진통제 (특히 마약성 진통제) 있음 자주 사용 시 점점 효과 감소, 용량 ↑ 필요
수면제, 항불안제 (벤조디아제핀 계열) 있음 수면제 의존성 + 내성 ↑, 복용 기간 제한 필요
항생제 주의 필요 약물이 아닌 세균이 내성을 가지게 되는 것
항우울제, ADHD 약, 고혈압약, 당뇨약 등 낮음 or 없음 꾸준한 복용이 원칙 / 장기 복용 시 내성 거의 없음
비타민, 일반 감기약, 위장약 등 매우 낮음 대부분 내성 문제 없이 장기 복용 가능 (용법 준수 시)

 

🧪 내성과 혼동하기 쉬운 현상들

증상실제 원인내성과의 차이
약이 점점 효과 없는 것 같음 병의 진행, 스트레스 등 외적 요인 내성일 수도 있지만, 대부분은 질병의 변화
효과가 처음처럼 강하지 않음 몸이 ‘적응’한 것일 수 있음 내성은 아님 (용량 조절 불필요한 경우 많음)
약을 끊으면 더 불편해짐 반동 효과 or 금단 증상 가능 내성과는 구분해야 함, 의사와 조절 필요

 

❗ 정말 내성이 걱정되는 약물은 어떤 것?

  • 수면제: 자의적으로 용량 늘리지 않기
  • 진통제 (마약성): 단기간 집중 복용 필요
  • 항불안제 (벤조계열): 장기복용 시 점진적 감량 필수
  • 위장약 (PPI 제제): 장기복용 시 위산 과다 반응 올 수도 있음

💡 이런 약들은
반드시 전문의의 판단 하에 중단/변경해야 합니다.

 

💬 내성이 걱정될 땐 이렇게 해보세요

  1. 약 복용 시간, 용량을 정확히 지켜주세요
    → 내성 예방의 기본!
  2. 의사와 증상 변화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기
    → “예전보다 덜 듣는 것 같아요” → 약물 조정 가능
  3. 자가 판단으로 약 중단하지 않기
    → 갑작스러운 중단은 부작용·금단 증상 초래 가능

 

📌 마무리하며

‘약을 매일 먹으면 내성이 생긴다’는 말은
모든 약에 해당하는 말은 아닙니다.

오히려 대부분의 만성질환 치료제는
꾸준히 먹는 것이 더 중요하고,
내성보다는 용법을 지키는 것이 훨씬 더 큰 핵심이에요.

혹시 지금 복용 중인 약이 걱정된다면,
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듣는 것이
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😊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