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[ 목차 ]
헷갈리는 약 유통기한 한 번에 정리!
“감기약 남아서 다음 달에 먹어도 될까?”
“비타민, 영양제 유통기한은 몇 년이야?”
“유통기한 지난 약은 그냥 버려도 되는 걸까?”
약이나 영양제는 자주 사두고 잘 안 먹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.
하지만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오히려 건강에 해가 될 수 있어 꼭 확인이 필요해요!
1. 병원 처방약(조제약)의 유통기한
- 일반적으로 조제일로부터 1개월 이내 복용 권장
- 약 봉투에 '조제일자'가 쓰여 있다면, 그날로부터 30일이 지나면 폐기하세요
- **가루약(산제)**이나 시럽제는 보관 방법에 따라 더 짧을 수 있음
📌 주의사항
→ 습기, 햇빛, 온도에 약하므로 화장실·주방은 피해서 서늘한 곳 보관
→ 냉장 보관이 필요할 경우 약국에서 안내받은 그대로!
2. 약국에서 구매한 전문/일반 의약품
약 종류 | 유통기한 | 개봉 후 사용 가능 기간 |
알약 (정제) | 제조일로부터 보통 2~3년 | 최대 6개월 이내 |
가루약 (산제) | 제조일로부터 2년 내외 | 개봉 즉시 복용 권장 |
시럽형 약 | 제조일로부터 1~2년 | 개봉 후 1개월 이내 |
연고/크림 | 2~3년 | 개봉 후 6개월~1년 |
점안액 (안약) | 1~2년 | 개봉 후 1개월 이내 |
흡입제/네불라이저 약 | 제품에 따라 상이 | 개봉 후 냉장보관 시 1~2주 |
📌 약국 의약품은 유통기한이 포장지에 표기되어 있으므로 꼭 확인하세요!
3. 비타민, 영양제, 건강기능식품
- 대부분 제조일로부터 2~3년 유통기한
- 유통기한 내라도 습기, 열기, 직사광선 노출 시 약 효과 저하
- 개봉 후에는 뚜껑을 꽉 닫고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
💡 냉장고 보관이 꼭 필요한 건 아니지만, 젤리형, 액상형 영양제는 냉장 보관이 권장될 수 있어요.
유통기한 지난 약, 먹으면 어떻게 되나요?
- 대부분의 약은 효과 감소 + 부작용 가능성 증가
- 시럽약/액체형 약/점안액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세균 번식 위험!
- 항생제나 호르몬제는 특히 절대 복용 금지!
✅ 결론:
“유통기한이 지났거나, 개봉 후 오래된 약은 버리는 게 정답입니다.”
약, 그냥 쓰레기통에 버려도 될까?
→ NO!
약은 생활 쓰레기로 버리면 안 되고, 따로 폐기해야 해요.
✅ 버리는 방법:
- 가까운 약국에 가져가면 무료 수거함에 버릴 수 있어요
- 일부 보건소, 주민센터에도 약품 수거함 설치되어 있음
💡 특히 항생제, 호르몬제, 안약 등은 반드시 따로 폐기하세요!
TIP : 약 보관 팁 한눈에 보기
- 햇빛 피하고, 습기 없는 서늘한 곳
- 개봉한 약은 가급적 3~6개월 내 복용
- 연고류는 튜브 입구에 이물질 생기지 않도록 주의
- 어린이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 보관!
마무리하며
약은 내 몸에 직접 들어가는 ‘의약품’인 만큼
사용 기한과 보관 상태가 매우 중요합니다.
‘한두 알 남았는데 아깝다’는 생각보다는
건강을 위한 안전한 선택이 먼저예요.
오늘, 집에 있는 약들 한 번 확인해보시고
오래된 약은 약국 수거함으로 보내주세요!
반응형
'건강 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염 수술, 재발하지 않으려면? (0) | 2025.04.13 |
---|---|
닭가슴살만 먹으면서 살을 빼면 생기는 일 (0) | 2025.04.13 |
뇌혈관이 서서히 막히는 병, 모야모야병이란? (0) | 2025.04.12 |
난소암 1기, 완치가 가능한가요? (0) | 2025.04.11 |
스테로이드 부작용 총정리 (0) | 2025.04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