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자기계발 위로

미성년자(청소년)가 혼자 정신과 병원에 갈 수 있을까?

by 파스타국 2025. 4. 4.
반응형

– 부모님 몰래 가도 되는지, 동의가 필요한지, 한의원도 가능한지 궁금하다면

요즘은 마음이 아픈 걸 숨기지 않고
병원을 찾으려는 청소년들이 늘고 있어요.

하지만 막상 정신과 병원을 검색해보면
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문이 있죠.

“청소년은 혼자 정신과에 갈 수 있을까?”
“부모님 동의 없이 진료받을 수 있을까?”
“부모님께 연락이 가면 어쩌지…?”
“한의원에서도 정신 치료가 되나?”

오늘은 이 질문들에 대해
현행 법과 실제 진료 기준을 바탕으로
꼭 알아야 할 정보들을 하나씩 알려드릴게요.

✅ 결론 먼저 말하자면…

✔️ 만 14세 이상 청소년은 정신과 외래 진료를 혼자 받을 수 있습니다.
✔️ 다만, 약 처방이나 검사 내용에 따라 보호자 동의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.
✔️ 부모님께 반드시 연락이 가는 건 아니지만, 진료 상황에 따라 의료진 판단 하에 연락이 갈 수 있습니다.

 

🧾 나이별 진료 가능 여부

나이정신과 외래 진료 가능 여부
만 13세 이하 보호자 동반 및 동의 필수
만 14세 이상 단독 방문 및 진료 가능 (일반 외래 기준)
만 17세 이상 성인과 거의 동일한 권한으로 진료 가능

🔹 입원치료나 장기 처방은 예외적으로 보호자 동의가 필요할 수 있어요.

 

📞 부모님께 연락이 갈까?

  • 일반적인 외래 진료만 받을 경우,
    병원에서 부모님께 무조건 연락하지는 않습니다.

다만 이런 경우 연락이 갈 수 있어요:

  • 자해·자살 충동 등 위험한 상태일 때
  • 처방약 부작용이나 복용 관련 설명이 꼭 필요한 경우
  • 미성년자 의료 동의가 필요한 특정 상황

👉 이럴 땐, 의료진이 청소년과 먼저 상담한 후
"보호자에게 어느 정도는 설명해야 한다"는 판단이 있으면
같이 방법을 찾자고 제안해주는 경우도 많아요.

 

💡 한의원에서도 정신과 치료가 가능할까?

▶️ 한의원에서는 ‘정신과 전문 진료’는 불가능합니다.
하지만 일부 한의원에서 아래와 같은 심리 증상 완화 목적의 진료를 하기도 해요:

  • 불면증, 스트레스, 화병 등 완화
  • 침 치료, 한약 처방, 이완 요법 등

단, 병명 진단(예: 우울증, 불안장애 등)은 정신건강의학과에서만 가능
→ 학교 상담소나 정신건강센터에서 진료 연결을 받아보는 게 더 정확합니다.

 

🧠 혼자 병원에 가려는 청소년에게 드리는 팁

  1. 병원 예약 시 “청소년입니다”라고 먼저 말해보세요
    → 병원 측에서 알아서 설명해주고, 부담을 줄여줍니다.
  2. 증상은 간단하게 메모해가면 좋아요
    → 예: "요즘 잠이 안 와요 / 숨이 막히는 느낌이 자주 들어요 / 자꾸 울고 싶어요"
  3. 심리상담센터, 정신건강복지센터 이용도 가능해요
    → 부모 동의 없이 무료 상담/검사 받을 수 있음

 

📌 마무리하며

병원에 간다는 것만으로도
마음의 용기가 필요합니다.

청소년이 스스로
“나 요즘 이상한 것 같아…”
“나도 상담 받아보고 싶어…”
라고 생각했다면,

그건 약해서가 아니라,
스스로를 지키고 싶어졌다는 뜻
이에요.

그리고 당신은 진짜 잘하고 있는 중입니다.

반응형